2025 QS 세계 대학 순위 (대한민국)
2025 전체 대학 순위 보러 가기
2025년 QS세계 대학 순위 – 500위내 국내 대학
|
||
2025 순위 | 2024 순위 | 대학 |
31 | 41 | 서울대학교 |
53 | 56 | KAIST - 한국과학기술원 |
56 | 76 | 연세대학교 |
67 | 79 | 고려대학교 |
98 | 100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
123 | 145 | 성균관대학교(SKKU) |
162 | 164 | 한양대학교 |
280 | 266 | 울산과학기술원(UNIST) |
326 | 307 | 울산과학기술원(UNIST) |
328 | 332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359 | 328 | 경희대학교 |
396 | 436 | 광주과학기술원(GIST) |
489 | 494 | 세종대학교 |
2025년 순위: 한국 대학 관련 요약
1. 국제 학계와 고용주들 사이에서 아시아 최고의 고등 교육 시스템으로 인정
2. 아시아에서 가장 취업 가능성이 높은 졸업생 배출
3. 세계 최고의 연구 허브 중 하나
4. 연구, 학생, 교수진 등 국제화와 관련된 지표의 개선 필요
2025 전체 대학 순위 보러 가기
2025년 순위: 국내 대학 관련 중점 사항
1. 한국의 고등 교육은 국제 학계와 고용주들로부터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고용주 평판에서는 세계 100대 대학 중 7개 대학이 상위 50위 안에 들었으며, 이 중 4개 대학이 상위 50위 안에 들었다. 이 지표에서 상위 100위권 대학과 상위 50위권 대학이 많은 나라는 일본이 유일하다.
2. 마찬가지로 학계 평판에서도 한국의 4개 대학이 세계 100위권 안에 들었으며, 그중 2개 대학은 상위 50위권 안에 들었다. 일본과 중국만이 이 순위권에 한국보다 더 많은 대학을 보유하고 있다.
3. 한국의 고용주 평판은 뛰어난 취업 성과를 거둔 졸업생들에게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3개 대학이 취업 능력 부문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들었는데, 이는 다른 아시아 국가나 지역보다 많은 수치다. 서울대학교는 이 지표에서 아시아 최고의 성적을 거두며 전 세계 4위에 올랐다.
4.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연구 허브 중 하나이다. 교수진 당 피인용 횟수에서 세계 상위 20위 안에 드는 대학이 두 곳이나 있으며 국내 1위인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 지표에서 전 세계 4위,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전 세계 12위를 차지했다.
5. 포항공과대학(POSTECH)은 학급 규모와 교수 자원을 측정하는 QS의 학생당 교수 비율 지표에서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이 지표에서 전 세계 24위를 차지하였다.
6. 한국은 국제화 지표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해외 인재 유치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국제 교수 비율에서는 세계 상위 400위 안에 드는 한국 대학이 한 곳도 없었고, 국제 학생 비율에서는 상위 200위 안에 드는 대학이 한 곳도 없었다.